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요약 (자유자재학원 박중희 교육칼럼)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요약 

2015년 초·중·고등학교 사교육비 총액은 약 17조 8천억원(2.2%↓) 
 ○ ‘15년 사교육비 총액은 약 17조 8천억원이며, ’09년 이후 지속적 감소 추세 
 - 전년은 18조2천억원이며, 전년대비 4천억원(2.2%↓) 감소함 
 ○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7조 5천억원(0.9%↓), 중학교 5조2천억원(5.9%↓), 
 고등학교 5조 1천억원(0.0%↑)임 *( )는 전년대비 증감률 
 ※ 학생수 : (‘10) 723.6만명 → (‘14) 628.6만명 → (‘15) 608.9만명 (전년대비3.1%↓) 

2015년 초·중·고교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4만 4천원(1.0%↑) 
 ○ ‘15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4만4천원으로, 전년 24만2천원에 비해 
 2천원(1.0%↑) 증가함 
 -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23만 1천원(0.4%↓), 중학교 27만 5천원(1.9%↑), 
 고등학교 23만 6천원(2.9%↑)임 *( )는 전년대비 증감률 

※ 물가상승분을 감안한 1인당 실질 사교육비는 20만 4천원으로, 전년 20만 7천원에 
비해 1.5% 감소 
- 1인당 실질 사교육비 : (‘10) 24.0만원 → (‘14) 20.7만원 → (‘15) 20.4만원 
 ○ ‘15년 참여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5만5천원으로 전년 35만2천원에 
 비해 2.46천원(0.7%↑) 증가함 *( )는 전년대비 증감률 

2015년 초·중·고교 학생 사교육 참여율은 68.8%(0.2%p↑) 
 ○ ‘15년 사교육 참여율은 68.8%로 전년 68.6%에 비해 0.2%p 증가함 
 -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80.7%(0.4%p↓), 중학교 69.4%(0.2%p↑), 고등학교 
 50.2%(0.7%p↑)임 *( )는 전년대비 증감차 
2015년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은 5.7시간(0.1시간↓) 
 ○ ‘15년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은 5.7시간으로 전년 5.8시간에 비해 0.1시간 감소함 
 * 참여시간 : (‘10) 7.0시간 → (‘14) 5.8시간 → (‘15) 5.7시간 
 -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6.4시간(0.2시간↓), 중학교 6.4시간(0.1시간↓), 
 고등학교 4.1시간(0.1시간↑)임 *( )는 전년대비 증감차
 

2015년 국어·영어·수학 등 일반교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9만원(0.3%↓) 
 ○ '15년 일반교과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9만원으로 전년대비 0.3% 감소함 
 - 과목별로는 국어 1만5천원(1.0%↓), 영어 8만원(2.1%↓), 수학 7만7천원(0.1%↑)임 
 *( )는 전년대비 증감률 
 ○ '15년 일반교과 참여유형별 월평균 사교육비는 학원수강 12만2천원(1.6%↓), 
 개인과외 3만4천원(4.6%↑), 그룹과외 2만2천원(1.1%↑) 순임 *( )는 전년대비 증감률 

2015년 사교육 참여학생 중 월평균 50만원 이상을 지출한 학생은 15.1%(0.8%p↑) 
 ○ '15년 사교육 참여학생 중 월평균 사교육비로 50만원 이상 지출한 학생 
 비중은 15.1%로 전년 14.4%에 비해 0.8%p 증가함 
 - 권역별로는 서울과 중소도시는 50만원 이상에서, 광역시는 20~30만원 구간에서, 
 읍면지역은 10~20만원 구간의 지출 학생의 비중이 높음 *( )는 전년대비 증감차 

2015년 가구의 월평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과 참여율이 높았음 
 ○ '15년 월평균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2만원으로 가장 높고, 1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6만6천원임 
 ○ '15년 월평균 소득 700만원 이상 가구의 사교육 참여율은 82.8%로 가장 
 참여율이 높고, 100만원 미만인 가구의 참여율은 32.1%임 
2015년 방과후학교 참여율 57.2%, EBS교재 구입비율 19.0%, 어학연수 참여율 0.5% 
 ○ ‘15년 총액규모로 방과후학교 비용은 1조 1천6백억원(7.5%↓), EBS교재 구입 
비는 1천7백억원(1.6%↓), 어학연수비는 5천8백억원(6.4%↓)임 
*( )는 전년대비 증감률 
 ○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57.2%(2.1%p↓), EBS교재 구입 학생비율은 19.0% 
(0.8%p↓), 어학연수 참여율은 0.5%(0.1%p↓)임 *( )는 전년대비 증감차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학 학습법& 부모교육] 자녀의 학습관리를 하는 부모님들을 위한 글 : 자유자재 박중희 칼럼

자녀의 학습관리를 하는 부모님들을 위한 글  " 속도보다는 방향이 중요하다 ."  부모님들은 우리 아이가 공부머리가 있어서 공부를 잘하는 아이라고 생각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현실과 이상은 다르다는 것을 알게된다. 아이들이 우리 부모가 생각하는 것처럼 다재다능하면 정말 좋은데, 대체로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부족한 아이도 제대로 성장하고 능력이 커지는 역할을 부모가 도와서 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것이 요즘의 현실이다. 대체로 부모님들이 자녀들의 공부를 도울 때 중요한 것은 혼자서 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인데 대체로 부모님들은 그런 부분에서 정도를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부모들은 자녀의 공부의 방향성을 잡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부모가 직업이 교육분야에 전문가라 하더라도 사실은 아이들에게 큰 도움이 안될 수도 있다. 부모가 많이 아는 것이 아이들에게 100%적용이 안된다는 것이다. 내가 아는 것과 아이가 아는 것은 다르고 익히는 것도 다르기 때문이다.  컵에 물이차면 그 물을 '실력'이라고 부르고, 그 물이 넘쳐나면 '성적'이라고 한다.  평상시에는 공부를 참 열심히 해야 한다. 그 과정은 컵에 물이 차는 과정과 비슷하다. 그 컵의 높이만큼의 물이 차면 이제 물을 부으면 넘치게 되어 있다. 우리는 그 컵의 높이를 바로 '우리가 넘어야 할 수준'이라고 평가하면 되는 것이다. 그 기준을 넘어서 넘쳐나는 물을 우리는 '성적'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물에 물이 차는  과정처럼 우리는 실력이 생기는 공부를 해야 한다. 그 공부는 남(혹은 선생님)에게 들어서 하는 공부방법 즉, 민요 배우듯이 구전하는 방식의 공부보다는 책을 통해서 제대로 이해하고 지식을 얻는 것들이 훨씬 낫다. 불필요한 선행으로 실력을 낮추어지지 않도록 가르치는 것은 정말 중요한 것이다. 실력이 쌓이는 공부는 자신이 제대로 이

[교육철학 읽기- 책정리 ] 교육은 단순한 훈련이 아니다. - 자유자재 학원 박중희 원장 칼럼

#교육 교육은 단순한 훈련이 아니다 훈련은 제한된 기술이나 사고방식을 길러주는 것이지만 교육은 더욱 넓은 신념 체계를 다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의지가 약한 사람들은 자기가 무엇을 바라고, 또 어떻게 해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감정 혹은 정서의 영향을 이기 못해 엉뚱한 옆길로 나가는 행동을 하는 사람이다.  의지를 교육한다고 하지 않고 훈련한다고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즉 의지란 유혹이나 방해에도 불구하고 원칙이나 목표나 계획을 관철하는 힘이다. 우리는 이러한 차이를 전사(awrrior)과 기사(knight)로 비교할 수 있다. 로마가 멸망하는 시기에 유럽의 초기 중세사회는 잔인한 격동의 시기였다. 이 때 치열한 세력다툼의 선봉에 있던 사람들이 전사였다. 이들은 전투에서 용맹을 자랑했지만 지나치게 투쟁적이고 야만적이며 순화되지 않은 것이 문제였던 것이다. 후에 영주들은 이들에게 '인간교육'을 실시하여 한 사람의 당당한 기사의 길을 갈 수 있게 만들었다. 즉 기사도 정신이란 전쟁에서의 승리보다 더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과 공동체의 품격을 지키는 것이라는 점이다.이것이 단순한 훈련과 구분되는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다. 격동의 시대에서 교육이 할 일을 이야기 해보자 경쟁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시대에는 교육이 훈련의 측면에 더 비중을 둔다. 교육을 받은 사람이 경쟁에서 낙오되면 안되기 때문이다. 훈련에 치중하면 경쟁에서 이기는 것이 긍국적인 목적이 되게 되므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승리에만 전념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로 세가지 방향이 제시되는데 능력을 기르는 것과 반칙을 범하는 것 , 그리고 요행을 바라는 것이다. 능력은 타고 날 수 있지만 훈련을 통해서 습득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능력이 누구에게나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그 능력이 없다면 경쟁에서 이기려면 비정상적인 방법을 택할 수 밖에 없다.그것이 바로 반칙을 범하거나 범죄를 저지르는 방식이 된다. 만약에 이러한 방식을 원하지 않으면 운명

바람직한 사교육이란? 한국 사교육연구협의회 박명희 회장 칼럼 (한사협)

바람직한 사교육이란? ‘한국 사교육 연구협의회’에서는 ‘착한 사교육’이 무엇인가? 에 대해서 논의를 하고 있다. 언젠가부터 좋은 것, 옳은 것, 바른 것, 저렴한 것 등이 ‘착한 것’으로 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착한’의 의미는 ‘자신에게만 좋은 것’, ‘자신에게만 이득’이 되어도 표현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우리’를 지향해야 하는 교육의 영역에서는 ‘착한’보다 ‘바람직한’ 사교육을 고민해 보기로 하였다.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사교육’은 사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아비투스(habitus)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교육을 의미한다.  아비투스란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주장한 것으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성품이나 기질이 태어날 때 주어진 것이 아니라, 성장과정에서 체험하는 가정환경, 교육환경, 사회문화적 배경, 부모의 사회경제적 위치 등에 의해 후천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개인의 인지, 지각, 성향을 총체적으로 드러내는 습성 같은 것으로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튀어나오거나 그것에 따라 행동을 하게 하는 계층적 상식과 표현기제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면 사교육 환경, 사교육강사, 다양한 상호작용이 학생의 성품과 기질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사교육의 현장을 들여다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단순히 성적을 향상시키려고 사교육을 찾지만 그 결과는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어서 첫 번째 학생은 성적만 향상되었고, 두 번째 학생은 성적향상은 물론 인성이나 품성까지 좋아졌다. 세 번째 학생은 성적이 하락하였고, 네 번째 학생은 성적하락뿐만 아니라 더욱 이기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성격과 태도까지 나빠졌다고 가정한다면 ‘바람직한 사교육’의 결과로 기대하고 싶은 그림은 금방 가늠이 된다. 결론적으로 ‘바람직한 사교육’은 단기적으로 단순한 점수 향상을 꾀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아비투스 형성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교육은 학생들의 ‘